"주식 살 때 이 표를 보라는데... 숫자가 너무 많아서 뭘 봐야 할지 모르겠어요." 처음 주식을 시작하는 분들이 가장 많이 하시는 말입니다. 오늘은 그 복잡한 표의 숫자들을 하나하나 쉽게 풀어드릴게요.
주식 투자를 시작하려고 증권 앱을 열면, 온갖 숫자와 용어들이 빼곡하게 적혀 있죠. 현재가, 시가총액, ROE, PER, PBR... 처음 보는 용어들이 가득합니다. 마치 외국어로 쓰인 설명서를 보는 것 같아요.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이 용어들은 사실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쓰는 개념과 똑같습니다. 마치 편의점 운영하는 것처럼, 회사가 돈을 얼마나 벌고 쓰는지를 숫자로 보여주는 거예요.
오늘 이 글을 다 읽고 나면, 여러분도 "아, 이 회사는 돈을 잘 벌고 있구나!" 또는 "이 회사는 좀 위험해 보이네?"라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될 거예요. 그럼 지금부터 차근차근 함께 알아볼까요?
1. 현재가와 시가총액: 회사의 "값"을 알아보기
현재가 - 주식 한 주의 가격🔍 한 줄 요약
현재가는 쉽게 말해서 지금 이 주식 1개를 사려면 내야 하는 돈이에요.
일상 비유로 이해하기
편의점에서 초콜릿 한 개가 1,500원이라고 생각해보세요. 주식도 똑같습니다. 삼성전자 주식 한 주가 70,000원이라면, 그 주식 하나를 사려면 70,000원이 필요한 거예요.
예를 들어 업로드하신 표를 보면:
- 우리금융지주: 현재가 27,000원 → 주식 1개 사는데 27,000원 필요
- KB금융: 현재가 134,700원 → 주식 1개 사는데 134,700원 필요
💡 참고: 현재가가 높다고 무조건 비싼 주식이 아니에요! 회사 전체 가치를 봐야 합니다. (바로 다음에 설명할 '시가총액'이 중요해요)
시가총액 - 회사 전체의 가치🔍 한 줄 요약
시가총액은 이 회사를 통째로 사려면 얼마가 필요한지를 나타내요.
일상 비유로 이해하기
편의점 한 곳의 가격이 아니라, 전국에 있는 그 편의점 체인 전체를 사려면 얼마가 필요한가를 계산하는 거예요. 주식 1개 가격(현재가) × 전체 주식 개수 = 시가총액이 됩니다.
표를 보시면:
- 우리금융지주: 시가총액 198,200억 원
- KB금융: 시가총액 513,829억 원
KB금융이 우리금융보다 시가총액이 크죠? 이건 KB금융이라는 회사 전체가 시장에서 더 높게 평가받고 있다는 뜻이에요. 마치 같은 편의점이라도 위치가 좋고 손님이 많은 곳이 더 비싼 것처럼요.
2. 매출액과 이익: 회사가 돈을 얼마나 버는가?
매출액 - 회사가 판매해서 번 돈🔍 한 줄 요약
매출액은 회사가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아서 벌어들인 총 금액이에요.
일상 비유로 이해하기
치킨집을 운영한다고 생각해보세요. 하루에 치킨을 100마리 팔았고, 한 마리당 20,000원이라면 하루 매출은 200만 원입니다. 회사도 마찬가지예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은 모든 돈이 매출액입니다.
표를 보면:
- 우리금융지주: 매출액 135,387억 원
- KB금융: 매출액 241,229억 원
KB금융이 더 많은 돈을 벌고 있네요. 하지만 매출이 많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에요. 진짜 중요한 건 "남는 게 얼마냐"예요. 바로 다음에 나올 '영업이익'을 봐야 합니다!
영업이익 - 본업으로 실제 번 이익🔍 한 줄 요약
영업이익은 회사의 본업으로 벌어들인 순수한 이익이에요.
일상 비유로 이해하기
치킨집에서 하루에 200만 원을 벌었다고 해도(매출), 재료비 100만 원, 인건비 50만 원, 임대료 30만 원을 빼면 실제로 남는 돈은 20만 원이죠. 이 20만 원이 바로 영업이익입니다.
영업이익 = 매출액 - 비용(재료비, 인건비, 임대료 등)
표를 보면:
- 우리금융지주: 영업이익 11,085억 원
- KB금융: 영업이익 21,330억 원
KB금융이 매출도 많고 이익도 많네요. 영업이익이 높다는 건 회사가 본업을 잘하고 있다는 뜻이에요.
당기순이익 - 최종적으로 남은 돈🔍 한 줄 요약
당기순이익은 모든 비용을 다 빼고 최종적으로 회사 통장에 남은 돈이에요.
일상 비유로 이해하기
영업이익 20만 원에서 세금 3만 원, 이자 비용 2만 원을 더 빼면 최종적으로 15만 원이 남습니다. 이게 진짜로 주머니에 들어오는 돈이죠. 이 15만 원이 바로 '당기순이익'입니다.
당기순이익 = 영업이익 - 이자 - 세금 등
표를 보면:
- 우리금융지주: 당기순이익 9,397억 원
- KB금융: 당기순이익 17,476억 원
💡 참고: 당기순이익이 높을수록 회사가 실질적으로 돈을 잘 벌고 있다는 뜻이에요. 주주들은 이 이익 중 일부를 '배당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3. 주당순이익(EPS): 내가 산 주식 1개당 이익은?
🔍 한 줄 요약
주당순이익(EPS)은 내가 가진 주식 1개가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줘요.
일상 비유로 이해하기
친구 4명이 모여서 치킨집을 차렸어요. 한 해 동안 1,000만 원의 순이익을 냈다면, 1인당 250만 원씩 나눠 가지겠죠? 주식도 똑같아요. 회사가 번 당기순이익을 주식 개수로 나누면, 주식 1개당 이익이 나옵니다.
주당순이익(EPS) = 당기순이익 ÷ 발행 주식 수
표를 보면:
- 우리금융지주: 주당순이익 1,259원 (표에는 1,259.55로 표기)
- KB금융: 주당순이익 4,488원 (표에는 4,488.61로 표기)
KB금융 주식 1개를 가지고 있으면, 그 주식이 올해 약 4,488원의 이익을 냈다는 뜻이에요. 우리금융보다 주식 1개당 이익이 더 많네요!
EPS가 높을수록 = 그 주식이 돈을 잘 벌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4. ROE, PER, PBR: 주식 투자의 3대 핵심 지표
이제부터 나올 세 가지 용어가 주식 투자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ROE, PER, PBR... 처음엔 어렵게 느껴지지만, 하나씩 풀어보면 정말 쉬워요. 이 세 가지만 이해하면, 그 주식이 좋은 주식인지 나쁜 주식인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 돈 버는 효율성🔍 한 줄 요약
ROE는 회사가 자기 돈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줘요.
일상 비유로 이해하기
여러분이 100만 원으로 치킨집을 시작했어요. 1년 후 10만 원의 순이익을 냈다면, ROE는 10%입니다.
만약 같은 100만 원으로 시작한 다른 사람은 20만 원을 벌었다면 ROE는 20%죠. ROE가 높을수록 돈을 효율적으로 잘 쓰는 회사예요!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표를 보면:
| 회사 | ROE | 의미 |
|---|---|---|
| 우리금융지주 | 8.52% | 100원으로 8.52원 벌었어요 |
| KB금융 | 9.87% | 100원으로 9.87원 벌었어요 |
| 하나금융지주 | 9.45% | 100원으로 9.45원 벌었어요 |
KB금융이 ROE가 가장 높네요! 자기 자본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해서 이익을 낸다는 뜻이에요.
💡 참고: 일반적으로 ROE가 10% 이상이면 좋은 회사로 봅니다. 은행 금리(3-5%)보다 높아야 투자할 가치가 있어요!
PER (주가수익비율) - 주가가 비싼가 싼가?🔍 한 줄 요약
PER은 현재 주가가 회사가 버는 이익에 비해 비싼지 싼지를 알려줘요.
일상 비유로 이해하기
치킨집이 1년에 100만 원을 번다고 해볼게요. 이 치킨집을 700만 원에 팔고 있다면, PER은 7배입니다. "이 가게가 버는 이익의 7년치 값"이라는 뜻이죠.
만약 같은 수익을 내는 다른 치킨집을 1,000만 원에 판다면 PER은 10배예요. PER이 낮을수록 같은 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렴하다는 의미입니다!
PER(배) = 현재 주가 ÷ 주당순이익(EPS)
표를 보면:
| 회사 | PER | 의미 |
|---|---|---|
| 우리금융지주 | 6.96배 | 이익의 7년치 가격 |
| KB금융 | 9.23배 | 이익의 9년치 가격 |
| 하나금융지주 | 6.98배 | 이익의 7년치 가격 |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의 PER이 더 낮네요! 같은 이익을 내는데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뜻이에요. KB금융은 시장에서 더 높게 평가받고 있네요.
💡 참고: PE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에요! 회사가 문제가 있어서 주가가 낮을 수도 있으니, 다른 지표와 함께 봐야 합니다.
PBR (주가순자산비율) - 자산 대비 주가는?🔍 한 줄 요약
PBR은 회사가 실제로 가진 자산 가치에 비해 주가가 비싼지 싼지를 알려줘요.
일상 비유로 이해하기
치킨집이 가진 자산(건물, 기계, 현금 등)이 1,000만 원이에요. 이 가게를 1,000만 원에 판다면 PBR은 1배입니다. 딱 자산 가치만큼 받는 거죠.
만약 800만 원에 판다면 PBR은 0.8배예요. 자산보다 싸게 파는 거니까 "저평가"되었다고 말합니다. 반대로 1,500만 원에 판다면 PBR은 1.5배로, "고평가"되었다고 봐요.
PBR(배) = 현재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BPS)
표를 보면:
| 회사 | PBR | 의미 |
|---|---|---|
| 우리금융지주 | 0.58배 | 자산의 58% 가격 (저평가) |
| KB금융 | 0.83배 | 자산의 83% 가격 (저평가) |
| 하나금융지주 | 0.61배 | 자산의 61% 가격 (저평가) |
세 회사 모두 PBR이 1배 미만이네요! 이건 회사가 가진 자산 가치보다 주가가 낮다는 뜻이에요. 시장에서 저평가받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참고: 일반적으로 PBR이 1배 미만이면 저평가, 1배 이상이면 고평가로 봅니다. 하지만 성장 가능성이 큰 IT 기업은 PBR이 높아도 괜찮아요!
자주 묻는 질문 TOP 5
Q1. ROE, PER, PBR 중에서 뭘 가장 먼저 봐야 하나요?
세 가지를 모두 함께 봐야 합니다! 하나만 보면 실수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PER이 낮아서 "싸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ROE가 너무 낮아서 회사가 돈을 못 벌고 있을 수도 있어요. 반대로 ROE가 높아도 PER과 PBR이 너무 높다면 이미 주가가 많이 올라서 비싼 걸 수도 있고요.
추천 순서: ROE 먼저 확인 (돈을 잘 버는 회사인가?) → PER, PBR 확인 (주가가 저평가되었나?)
Q2. PER이 낮으면 무조건 사야 하나요?
아니요, 낮은 데는 이유가 있을 수 있어요.
PER이 낮다는 건 시장에서 그 회사를 저평가하고 있다는 뜻이지만, 회사에 문제가 있어서 일부러 낮게 평가하는 경우도 있어요. 예를 들어, 앞으로 실적이 나빠질 것 같거나, 업계 전체가 불황이라면 PER이 낮아도 투자하면 안 되겠죠.
확인할 것: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계속 줄어드는지, 다른 경쟁사와 비교했을 때 어떤지 꼭 같이 봐야 해요!
Q3. 같은 업종끼리 비교해야 한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업종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IT 기업은 성장 가능성이 커서 PER이 20-30배여도 정상이지만, 은행이나 보험 같은 금융권은 보통 PER이 5-10배 정도예요. 그래서 IT 기업의 PER 30배를 보고 "비싸다!"라고 하면 안 되고, 다른 IT 기업과 비교해야 해요.
팁: 같은 업종 내에서 상위 3-5개 기업을 비교해보세요!
Q4. 외국인지분율은 뭘 의미하나요?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 회사 주식을 얼마나 갖고 있는지를 보여줘요.
표를 보면 KB금융의 외국인지분율이 76.47%로 가장 높네요. 이건 외국인 투자자들이 KB금융 주식의 76%를 갖고 있다는 뜻이에요. 일반적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은 좋은 회사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어서, 외국인지분율이 높으면 긍정적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의: 외국인지분율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에요. 외국인들이 한꺼번에 팔면 주가가 크게 떨어질 수도 있어요!
Q5. 초보자는 어떤 회사에 투자하는 게 좋을까요?
안정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회사부터 시작하세요!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조건:
- 시가총액이 큰 회사: 대기업일수록 안정적이에요
- ROE 10% 이상: 돈을 꾸준히 잘 버는 회사
-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계속 증가: 성장하는 회사
- 내가 아는 제품/서비스를 파는 회사: 이해하기 쉬워요
가장 중요한 것: 한 번에 큰돈을 넣지 말고, 소액으로 여러 회사에 분산 투자하세요!
마무리: 이제 여러분도 할 수 있어요!
📌 핵심만 기억하세요!
- 현재가 × 발행주식수 = 시가총액 (회사 전체 가치)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순서로 이익이 줄어들어요
- ROE 높고, PER·PBR 낮은 회사가 일반적으로 좋아요
처음엔 숫자가 많아서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오늘 배운 용어들을 하나씩 실제 주식 표에서 찾아보면서 연습하다 보면, 어느새 "아, 이 회사는 이런 특징이 있구나!" 하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될 거예요.
주식 투자는 마라톤과 같아요. 빠르게 부자가 되려고 하기보다는, 천천히 꾸준히 공부하고 투자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오늘 배운 내용이 여러분의 투자 여정에 작은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본 글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나 특정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시 금융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