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보는 날엔 주식이 떨어진다던데?" 증권가에서 오랫동안 회자되던 이 속설, 정말일까요? 오늘은 실제 데이터를 통해 수능일 코스피 징크스의 진실을 파헤쳐볼게요.
매년 11월이 되면 증권가에서는 "수능일엔 조심하라"는 말이 돕니다. 수능 당일 주식시장이 하락한다는 속설이 오래전부터 있었거든요.
실제로 과거엔 수능일마다 코스피가 떨어지는 일이 자주 있었어요. 하지만 최근 10년간의 데이터를 보면, 이야기가 좀 달라집니다. 과연 이 징크스는 진짜일까요? 함께 데이터로 확인해볼까요? 📈
수능일 코스피 징크스란 뭘까요?
🔍 한 줄 요약
수능일에는 코스피(한국 주식시장 지수)가 떨어진다는 증권가의 오래된 속설이에요.
코스피가 뭐냐고요?
코스피는 한국 주식시장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숫자예요.
마치 학교 전체 학생들의 평균 성적처럼, 상장된 회사들의 주가를 종합해서 하나의 숫자로 나타낸 거죠.
예를 들어, 코스피가 2,500에서 2,400으로 떨어졌다면 "오늘 주식시장 전체가 안 좋았구나"라고 이해하면 돼요. 반대로 숫자가 올라가면 주식시장이 좋아진 거고요.
이 속설은 어디서 시작됐을까?
징크스가 생긴 이유는 과거의 데이터 때문이에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 동안 수능일에 코스피가 떨어진 해가 무려 9번이나 됐거든요!
10년 중 9번이면 거의 매년이죠. 특히 2011년에는 무려 4.94%나 폭락했고, 2008년에도 3.15%나 떨어졌어요. 유일하게 올랐던 해는 2010년뿐이었죠 (1.62% 상승).
이런 패턴을 본 투자자들이 "수능일엔 주식이 떨어진다"고 믿기 시작했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서 증권가의 '징크스'가 된 거예요.
그럼 정말 수능 때문에 떨어지는 걸까?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수능 자체가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는 건 아니에요.
수능일에는 주식시장 개장 시간이 1시간 늦춰져요. 보통은 오전 9시에 시작하지만, 수능일에는 오전 10시에 시작하죠. 수험생들이 시험장에 가는 걸 돕기 위해서예요.
하지만 개장 시간이 1시간 늦춰진다고 해서 주가가 떨어지는 건 아니에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답니다! (이건 조금 뒤에 자세히 설명할게요)
그럼 지금도 수능일에 떨어질까?
과거엔 9번 중 9번 떨어졌다면, 최근엔 어떨까요?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10년의 데이터를 보면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져요.
📊 최근 10년 수능일 코스피 성적표
| 연도 | 수능일 | 등락률 | 결과 |
|---|---|---|---|
| 2015년 | 11월 12일 | -0.20% | ❌ 하락 |
| 2016년 | 11월 17일 | +0.05% | ✅ 상승 |
| 2017년 | 11월 23일 | -0.13% | ❌ 하락 |
| 2018년 | 11월 15일 | +0.97% | ✅ 상승 |
| 2019년 | 11월 14일 | +0.79% | ✅ 상승 |
| 2020년 | 12월 3일* | +0.76% | ✅ 상승 |
| 2021년 | 11월 18일 | -0.51% | ❌ 하락 |
| 2022년 | 11월 17일 | -1.39% | ❌ 하락 |
| 2023년 | 11월 16일 | +0.06% | ✅ 상승 |
| 2024년 | 11월 14일 | +0.07% | ✅ 상승 |
* 2020년은 코로나19로 수능일이 12월로 연기됨
📈 결과 요약
상승 6번 vs 하락 4번
최근 10년간 수능일에 코스피가 오른 날이 더 많았어요!
게다가 2022년 제외하면 등락폭도 모두 ±1% 이내로 작았답니다.
보시다시피 최근 10년은 상승과 하락이 거의 반반이에요. 오히려 상승한 해가 6번으로 더 많죠.
그럼 왜 과거엔 계속 떨어졌을까요? 진짜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 진짜 범인은 '옵션 만기일'
수능일 코스피 하락의 진짜 원인은 수능이 아니라 '옵션 만기일'이었어요.
옵션 만기일이 뭐냐고요?
주식 파생상품(선물·옵션)의 계약이 끝나는 날이에요.
매달 두 번째 목요일이 옵션 만기일인데, 이날엔 거래가 매우 활발해지고
주가 변동성이 커지는 특징이 있어요.
쉽게 비유하면, 마치 할인 쿠폰의 유효기간이 오늘까지라서 다들 급하게 쓰는 것처럼, 투자자들이 계약 만기 전에 정리하느라 바쁘게 사고팔기 때문에 시장이 들썩거리는 거죠.
문제는 수능일과 옵션 만기일이 자주 겹쳤다는 거예요!
11월은 달력 구조상 수능일(보통 11월 셋째 주 목요일)과 옵션 만기일(매월 두 번째 목요일)이 같은 날이 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실제로 2008년, 2009년, 2011년, 2012년, 2014년, 2015년에는 수능일과 옵션 만기일이 겹쳤고, 이날 코스피가 큰 폭으로 하락했어요.
💡 정리: 수능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옵션 만기일의 높은 변동성이 진짜 원인이었던 거죠!
2024년 수능일은 어땠을까?
가장 최근인 2024년 11월 14일 수능일을 보면, 이날은 옵션 만기일(11월 9일)과 겹치지 않았어요.
결과는? 코스피가 0.07% 소폭 상승하며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답니다. 최근 경향을 보면 수능일이라고 해서 반드시 떨어지는 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죠.
하지만 최근 패턴을 보면 예전처럼 "무조건 떨어진다"고 보기는 어렵죠. 실제로 옵션 만기일이 겹쳤던 2015년에는 -0.20%로 미미하게 떨어졌고, 최근엔 상승한 경우도 많았으니까요.
자주 묻는 질문 TOP 5
간단 답변: 과거엔 맞았지만, 지금은 아니에요.
자세히 설명: 2006년부터 2015년까지는 10년 중 9번이 하락해서 징크스가 생겼어요. 하지만 최근 10년(2015~2024년)은 오히려 상승한 날이 6번으로 더 많았답니다. 이제 "수능일엔 무조건 떨어진다"고 보기는 어려워요.
간단 답변: 아니요, 수능 자체는 영향이 없어요.
자세히 설명: 수능일에 개장 시간이 1시간 늦춰지는 건 단지 교통 편의를 위한 거예요. 진짜 원인은 '옵션 만기일'이에요. 11월은 달력 구조상 수능일과 옵션 만기일(매월 두 번째 목요일)이 겹치는 경우가 많았고, 만기일에는 변동성이 커지거든요. 마치 우연히 비 오는 날과 월요일이 자주 겹쳐서 "월요일엔 비가 온다"고 착각하는 것과 비슷해요.
간단 답변: 주식 파생상품 계약이 끝나는 날이에요.
자세히 설명: 옵션은 "미래에 특정 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사고파는 거예요. 이 계약이 끝나는 날이 매월 두 번째 목요일이죠. 마치 할인 쿠폰이 오늘 만료되면 다들 급하게 쓰듯이, 투자자들이 만기 전에 포지션을 정리하느라 사고팔기가 활발해져서 주가가 크게 흔들릴 수 있어요.
간단 답변: 가능하지만, 신중하게 접근하세요.
자세히 설명: 최근 데이터를 보면 수능일이라고 해서 특별히 위험하진 않아요. 하지만 만약 그날이 옵션 만기일과 겹친다면 변동성이 클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해요. 단기 투자보다는 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게 좋고, "수능일이니까 떨어질 거야" 같은 속설만 믿고 투자하는 건 피하세요.
간단 답변: 2024년 11월 14일 수능일에는 코스피가 소폭 상승했어요 (+0.07%).
자세히 설명: 2025학년도 수능이 치러진 2024년 11월 14일에는 옵션 만기일과 겹치지 않았어요 (옵션 만기일은 11월 9일이었음). 코스피는 0.07% 소폭 상승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답니다. 최근 패턴을 보면 예전처럼 수능일마다 크게 떨어지는 현상은 사라졌어요.
📌 3줄 요약
- 과거엔 수능일마다 코스피가 떨어져서 징크스가 생겼지만, 최근 10년은 오히려 상승한 날이 더 많아요.
- 수능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옵션 만기일과 겹쳐서 변동성이 커진 게 진짜 원인이었어요.
- 이제는 "수능일엔 무조건 떨어진다"는 속설을 맹신하기보다, 데이터를 보고 판단하는 게 중요해요.
오랫동안 믿어온 징크스도 데이터로 확인해보면 진실이 달라질 수 있어요. 주식 투자를 할 때는 속설이나 소문보다는 실제 데이터와 시장 흐름을 보고 판단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합니다. 오늘 정리한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요! 😊
본 글은 투자 권유나 재무 자문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시 금융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자료
- 한국거래소 (2024). "수능일 증시 거래 시간 조정 안내"
- 한국경제 (2023). "수능날 증시는 하락한다?…최근 10년 조사해보니"
- 뉴시스 (2023). "수능일 맞은 증시…올해는 부진 속설 벗어날까"
- 헤럴드경제 (2024). "수능날엔 코스피 떨어진다 속설의 진실은"

댓글 쓰기